타인에 대해 차이를 두는 데 무관심하고 주위와의 조화를 추구하는 감각이나 그것을 촉진하고자 하는 생활 습관이, 유한계급의 생활양식에 반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렇지만, 최근 발전 단계에서 볼 수 있는 유한계급의 생활양식이 이러한 감각을 억압하는 경향이나, 그 근거가 된 사고 습관에서 괴리되는 경향을 갖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유한계급의 생활양식은 직접적으로는 차별하지 않는 습관이나 조화를 추구하는 감각과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영향을 끼칩니다.
그리고, 강제나 선택적 배제를 통하여 생활의 모든 국면에서 낭비나 차별화를 최우선으로 하도록 촉구합니다. 하지만 간접적 영향 쪽은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 없는데 재력의 체면을 보유하기 때문에 산업 활동에 관여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형태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금기에 의해 유한계급의 사람들은 빈민이 노동하는 영역에 발을 딛는 것이 금지됩니다. 특히나 여성, 그중에서도 선진 산업사회의 상류계급과 상위 중류계급 여성은 영리적 직업에 취업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거의 약탈적인 방식으로 재화를 축적하는 경쟁에 참가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여성에게 허용되지가 않습니다.
금전 문화, 즉 유한계급의 문화는 본래 일하기 본능에 강한 경쟁 지향을 갖춘 변종으로서 출현했으나, 최근 들어 능력이나 재력을 비교하여 차이를 두고자 하는 습관이 약화되고 자신의 기반을 약체화시키고 있습니다.
반면에 유한계급에 속하는 인간은 남녀를 불문하고 생존경쟁에서 생계 수단을 구해야 할 필요성에서 어느 정도 면제된 덕분에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않아도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제한이 붙기는 해도 좋아하는 것을 추구할 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달리 말해, 유한계급이 충분히 발달된 최근에는 약탈적 성공자에게 있는 능력을 갖지 못하거나 그러한 능력을 끊임없이 발휘하지 않아도 그 계급에 속한 사람은 살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탈적 능력이 없는 인간은 보통 사람들처럼 경쟁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경우보다 상위의 유한계급에 속하는 경우에 살아남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유한계급은 경제적으로 압박을 받지도 않고 따라서 경제 상황에 적응해야 할 가혹한 충격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약탈 문화를 상기시키는 특질이나 유형이 유한계급에서 보존된다는 것은 약탈적 능력과 습관은 이 계급의 생활양식에 특히 익숙한 것입니다. 경제적으로 보호된 입장의 유한계급에서는 현대 산업에 필요한 능력을 갖지 못한 사람도 살아남는 상황이 준비됨과 동시에 세상의 평판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종의 약탈적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요구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약탈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은 부나 출신을 과시하거나 생산 활동에 종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유용합니다.
이처럼 유한계급 문화에서는 간접적으로는 산업 활동을 기피함으로써 직접적으로는 체면에 관한 기준을 유지함으로써 약탈 기질이 보존됩니다. 그러나, 약탈 문화에 앞선 원시 문화의 특성을 보존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경제적으로 보호된 유한계급 상황은 평화와 선의를 사랑하는 원시시대의 특성을 보존하는 데에도 유리한 반면에 그러한 특성의 발휘는 이 계급의 규범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평화로운 원시 문화를 상기시키는 기질을 갖는 사람은 본래라면 다른 계급에 속하기보다 유한계급에 속하는 것이 유리함에 틀림이 없습니다. 생계를 세울 필요가 없기에 경쟁과는 무관한 생활에 적합한 그 기질을 억제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 계급의 규범은 약탈 기질에 근거한 생활 습관을 강요하므로 평화를 좋아하는 기질의 소유자는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신분제도가 남아 있는 한,
그리고 분명히 무목적의 여가 외에 해야 할 비생산적 활동이 있는 한 유한계급에 적합한 생활양식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유한계급에 평화를 좋아하는 기질이 출현하게 되면 그것은 돌발적 격세유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한계급에 욕구에 대응한 그럴듯한 비생산적 활동은 경제 발전, 전쟁 감소, 대형 사냥물의 절멸, 식민 지배의 소멸, 성직의 쇠퇴 등으로 조만간 기능하지 못하게 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