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승진, 결혼 등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우리는 샴페인을 땁니다. 유럽에서는 사브르라는 긴 칼로 샴페인 병을 따기도 하는데 펑하는 요란한 소리와 함께 폭포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흰 거품은 분위기를 고조시키는데 그만입니다. 샴페인의 특유 발포성 때문에 샴페인이 와인과는 다른 종류의 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결론은 샴페인도 와인입니다. 샴페인은 프랑스의 샹파뉴를 영어식으로 발음한 것으로 샴페인은 이 샹파뉴 지역에서 만들어진 발포성 와인을 가리킵니다. 샹파뉴는 부르고뉴, 보르도와 함께 특급 포도원이 있는 지역 중의 하나로 오직 샹파뉴 지역에서만 샴페인용으로 허용된 포도 품종으로만 정통 제조방식으로만 생산된 와인에 한하여 샴페인이라는 이름이 주어집니다. 프랑스에서는 샹파뉴 외의 다른 지역에서 만든 것은 샴페인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없도록 법으로 정해놓고 있습니다. 샴페인의 가장 큰 특징은 병마개를 땄을 때 쏟아져 나오는 풍부한 거품과 잔에 따랐을 때 뽀글뽀글 올라오는 작은 기포입니다. 요즘은 이를 가리켜 스파클링 와인이라고도 많이 부르는데 이는 샴페인의 독특한 제조방식에 기인합니다. 샴페인은 1차 발효가 끝난 와인을 병에 담은 뒤에 여기에 다시 설탕과 효모를 첨가하여 2차 발효를 시키며 이 과정에서 상당량의 탄산가스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병마개를 딸 때 이 탄산가스가 튀어나오면서 거품이 치솟는 것입니다. 처음 샴페인을 발견한 것은 우연이었습니다. 겨울에 미처 발효되지 못하고 병에 담긴 와인이 봄이 되어 따뜻해지면 다시 발효를 시작하면서 다량의 탄산가스가 생겨났고 결국에 압력을 견디지 못한 병이 펑펑 터져나갔는데 이 때문에 옛날 수도원 사람들은 이를 가리켜 악마의 장난이라고 여겼습니다. 하지만, 입안에서 톡톡 터지는 공기 방울과 독특한 맛에 매료된 수도사들은 병속에 2차 발효를 시키는 방법으로 오늘날의 샴페인을 탄생시켰습니다.
인격신관에 근거한 신앙도 종교의식의 규약도 시대가 변함에 따라 경제적 조건의 압력이나 신분제 쇠퇴의 영향을 받아서 점차 와해되어 갑니다.
이에 동반해 반드시 신앙에서 비롯되지 않는 또 신분제도와도 무관한 동기와 자극이 사람들의 신앙 습관에 침투합니다. 이런 이질적 동기는 곧 신앙 습관으로 용해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인격신관과도 일치하지 않습니다. 원래 종교에서는 유래하는 것이 아니기에 신앙생활에 대한 영향도 종교와 같지 않습니다.
종교의식의 전례나 교회 및 성직자 제도를 유지해온 것은 신분제나 대행 여가 또는 대행 소비를 목표로 하는 생활 규범이지만 이질적 동기는 많은 점에서 이를 방해합니다. 이런 사회적 신분제도는 점차 해체되고 주종관계라는 대전제는 오랜 전통의 근거를 상실하게 됩니다. 신분제에 갇힌 영역에 그것과는 무관한 습관이나 기호가 침투함으로써 결국 교회 및 성직자 제도의 일부가 신앙이 가장 번성한 시대의 종교 생활이 가지던 목적과는 별도의 것으로 향하게 됩니다.
종교 이후,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이질적 동기로서는 자선, 친목, 사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더욱더 폭넓게는 연대감이나 공감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 교회 조직이 종교 이외의 이러한 목적에 활용되는 것은 신앙을 바로 버릴 수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교회라는 이름이나 형태를 보존하는 데 크게 유용합니다. 또, 신앙생활의 형식적 유지에 기여해온 동기 가운데 더욱 폭넓게 보이는 특징적인 것으로서 주위와의 감각적 조화가 있습니다.
이것도 신앙심과는 무관한 감각이지만 인격신 신앙의 요소가 상실된 현대 신앙에 여전하게 남아 있습니다. 이런 동기는 신에게의 복종이라는 동기와 함께 교회 제도를 유지하는 데, 공헌했습니다. 조화를 추구하는 것은 경제적 동기라고는 하기 어려우나 산업 발전 이후의 단계에서는 경제 목적에 적합한 사고 습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간접적 효과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뚜렷한 효과는 과거 신분제도가 견고했을 무렵부터 받아들인 이기적 경향을 완화시킨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위와의 감각적 조화가 경제에 미친 영향은 인격신 신앙과는 정반대가 됩니다.
조화 지향은 자기와 타자 사이의 대립을 억제하고 이기적 경향을 아예 없앤다고는 말하지 못해도 완화시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인격신 신앙은 신과 인간 사이의 주종 관계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자기와 타자 사이의 대립을 강조하고 자기의 이익과 집단의 이익을 괴리시킵니다.
주변과의 조화 즉, 일반적인 생활 유지와의 조화를 추구하는 감각은 타인에 대해 차이를 두고자 하는 기질과는 무관합니다. 종교 생활에 남아 있는 이러한 감각에 자선이나 사교를 추구하는 감각은 타인에 대하여 차이를 두고자 하는 기질과는 무관합니다. 종교 생활에 남아 있는 이러한 감각에 자선이나 사교를 추구하는 동기가 더해져서 경제 목적에 적합한 사고를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그 작용은 막연한 것으로서 정확한 효과를 알 수는 없으나, 유한계급의 사고 습관을 뒷받침하는 원리와 방향성이 반대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유한계급 사고 습관의 토대는 문화의 발전 과정에서 이러한 계급에 뿌리 내린 인격신 신앙이고, 또 다른 타인과 비교해 차이를 만들고자 하는 습관입니다.
그리고, 이런 습관은 비교나 차별화를 하지 않는 습관과는 당연히 조화되지 않습니다. 유한계급 생활양식의 필수 조건은 재화와 시간의 과시적 낭비 그리고 생산 활동의 회피입니다. 한편, 지금 설명하고 있는 감각은 경제 면에서 낭비나 무익한 생활에 대한 비판으로서 또 경제면을 포함하는 모든 면에서 생산 활동에 대한 참가로서 나타납니다.
댓글
댓글 쓰기